맨위로가기

아흐메트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흐메트 3세는 1673년에 태어나 1736년에 사망한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다. 1703년 예니체리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베네치아 및 오스트리아와 교전했다. 그는 서유럽 문화를 수용하여 '튤립 시대'를 열었지만, 사치스러운 생활과 과도한 문화 사업으로 인해 반란을 겪고 퇴위했다. 아흐메트 3세는 문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인쇄술을 도입하는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통치 말기에는 민심을 잃고 폐위되었다. 그는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톱카프 궁전 내에 도서관을 짓고 튤립을 대대적으로 수입 및 재배하는 등 문화 사업을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키예의 시인 - 메흐메트 2세
    메흐메트 2세는 1432년에 태어나 145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어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을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1481년에 사망했다.
  • 튀르키예의 시인 - 쉴레이만 1세
    쉴레이만 1세는 오스만 제국의 10대 술탄으로, 활발한 군사 활동과 법률 개혁을 통해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행정 체계를 정비하여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예술의 황금기를 열었다.
  • 오스만 왕조 - 무스타파 1세
    무스타파 1세는 정신 질환으로 두 차례 퇴위당하며 오스만 제국 역사상 영향력이 미미했던 술탄으로, 연장자 계승 원칙 확립에 기여했으나 짧은 재위 기간과 정치적 혼란이 컸다.
  • 오스만 왕조 - 오스만 1세
    오스만 1세는 오우즈 투르크 카이으 부족 출신으로 룸 셀주크 제국 쇠퇴기에 오스만 베일리크를 세우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며 오스만 제국의 창시자가 되었다.
  • 1673년 출생 -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디미트리에 칸테미르는 몰다비아 공국의 귀족이자 공이었으며, 언어학, 역사, 철학, 음악 등 다방면에 걸쳐 학문적 업적을 남긴 계몽주의 시대의 박식가이다.
  • 1673년 출생 - 조지 그레이엄 (시계 제작자)
    조지 그레이엄은 1673년 영국에서 태어나 런던에서 활동하며 진자 시계, 수은 진자, 천구의 등 다양한 시계와 천문 기기를 제작하고 존 해리슨의 항해용 크로노미터 제작을 지원했으며, 자신의 발명에 특허를 내지 않고 다른 제작자들이 사용하도록 한 시계 제작자이다.
아흐메트 3세
기본 정보
압뒬젤릴 레브니의 세밀화
압뒬젤릴 레브니의 세밀화
칭호오스만 칼리프
아미르 알무미닌
두 성지의 수호자
통치1703년 8월 22일 ~ 1730년 9월 20일
대관식해당 없음
이전 통치자무스타파 2세
후임 통치자마흐무트 1세
배우자에메툴라 카든
미흐리샤흐 카든
라비아 셰르미 카든
무슬리 카든
기타
자녀파티마 술탄
ümmiigülsüm Sultan
하티제 술탄
아티케 술탄
제이네프 술탄
살리하 술탄
아이셰 술탄
셰흐자데 메흐메트
무스타파 3세
압뒬하미트 1세
에스마 술탄
쥐베이데 술탄
전체 이름아흐메트 빈 메흐메트
왕가오스만
아버지메흐메트 4세
어머니귈누슈 술탄
출생일1673년 12월 30일
출생지하지오을루 파자르즉, 오스만 제국
사망일1736년 7월 1일
사망지콘스탄티노플, 오스만 제국
매장지투르한 술탄 영묘, 이스탄불, 터키
종교수니 이슬람
아흐메트 3세의 투그라
아흐메트 3세의 투그라

2. 즉위 전 생애

1673년 메흐메트 4세와 귤누쉬 술탄 사이에서 현재 불가리아의 도브리치에서 태어났다. 아흐메트가 태어났을 때 아버지 메흐메트는 폴란드 원정에서 돌아와 사냥을 하고 있었다. 1675년무스타파 2세와 함께 할례를 받았으며, 이 행사와 함께 20일간 축제가 열렸다. 1679년부터 페이줄라 에펜디에게 역사, 음악, , 서예 등을 배웠고, 독서를 좋아했다. 에디르네 황자 시절, 네브셰히르리 다마트 이브라힘과 친하게 지냈으며, 그는 훗날 대재상이 되었다.

2. 1. 출생과 가족

술탄 아흐메트는 1673년 12월 30일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술탄 메흐메트 4세였으며, 어머니는 원래 에브메니아라는 이름을 가진 귈누쉬 술탄이었다.[7] 그는 1673년 메흐메트가 폴란드에서 돌아와 사냥을 하던 중 귈누쉬가 임신한 상태에서 하지오울루파자르에서 태어났다. 1675년, 그는 형제인 왕자 무스타파(훗날의 무스타파 2세)와 함께 할례를 받았다. 같은 행사에서 그의 여동생인 하티제 술탄과 파트마 술탄은 각각 무사히프 무스타파 파샤와 카라 무스타파 파샤와 결혼했다. 축하 행사는 20일 동안 이어졌다.

그는 에디르네 궁전에서 성장했다. 그의 학교 교육은 1679년 8월 9일 이스타브로즈 궁전에서 열린 '바드-이 바스말라'라는 궁정 의식을 따라 이스탄불에 대한 궁정의 산발적인 방문 중 시작되었다. 그는 에디르네의 황실 하렘에서 전통적인 왕자 교육을 받으며 사적인 튜터의 감독하에 코란, 하디스(무함마드의 전통), 이슬람 과학의 기초, 역사, 시, 음악 등을 공부했다. 그의 튜터 중 한 명은 수석 무프티 페이줄라 에펜디였다.[8]

아흐메트는 본성적으로 호기심이 많고 지적인 사람이었고, 대부분의 시간을 독서와 서예 연습에 보냈다. 그가 쓴 시는 시, 역사, 이슬람 신학, 철학에 대한 그의 심오한 지식을 보여준다. 그는 또한 서예에도 관심이 있었으며, 주요 궁정 서예가들과 함께 공부했는데, 주로 그의 예술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하피즈 오스만 에펜디(1698년 사망)와 함께했으며, 이는 그의 형이자 미래의 술탄인 무스타파 2세의 영향으로 서예를 연습했는데, 그도 또한 유명한 서예가가 되었다.

에디르네에서 왕자 시절, 아흐메트는 네브셰히르시 출신의 명석한 서기인 이브라힘과 친구가 되었는데, 그는 그의 미래 통치 기간 동안 뛰어난 대재상이 되었다. 1687년부터 아버지의 퇴위 이후, 그는 에디르네와 이스탄불의 궁전에서 16년 동안 격리된 채 살았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서예와 지적 활동에 전념했다.

2. 2. 교육

아흐메트는 에디르네 궁전에서 성장했다. 그의 학교 교육은 1679년 8월 9일 이스타브로즈 궁전에서 열린 ''바드-이 바스말라''라는 궁정 의식을 따라 이스탄불에 대한 궁정의 산발적인 방문 중 시작되었다.[8] 그는 에디르네의 황실 하렘에서 전통적인 왕자 교육을 받으며 사적인 튜터의 감독하에 코란, 하디스(무함마드의 전통), 이슬람 과학의 기초, 역사, , 음악 등을 공부했다. 그의 튜터 중 한 명은 수석 무프티 페이줄라 에펜디였다.[8]

아흐메트는 본성적으로 호기심이 많고 지적인 사람이었고, 대부분의 시간을 독서와 서예 연습에 보냈다. 그가 쓴 시는 시, 역사, 이슬람 신학, 철학에 대한 그의 심오한 지식을 보여준다. 그는 또한 서예에도 관심이 있었으며, 주요 궁정 서예가들과 함께 공부했는데, 주로 그의 예술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하피즈 오스만 에펜디(1698년 사망)와 함께했으며, 이는 그의 형이자 미래의 술탄인 무스타파 2세의 영향으로 서예를 연습했는데, 그 또한 유명한 서예가가 되었다.

에디르네에서 왕자 시절, 아흐메트는 네브셰히르시 출신의 명석한 서기인 이브라힘과 친구가 되었는데, 그는 훗날 아흐메트의 통치 기간 동안 뛰어난 대재상이 되었다. 1687년부터 아버지의 퇴위 이후, 그는 에디르네와 이스탄불의 궁전에서 16년 동안 격리된 채 살았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서예와 지적 활동에 전념했다.

3. 치세

아흐메트 3세의 치세는 즉위 초 혼란 수습 및 국내 안정, 대외 전쟁, 튤립 시대로 불리는 문화 부흥기로 구분된다.

즉위 초, 아흐메트 3세는 예니체리와 상공업자들의 반란으로 퇴위당한 형 무스타파 2세의 뒤를 이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즉위했다. 그는 몰수된 재산으로 예니체리에게 급료를 지급하고, 궁정을 이스탄불로 복귀시켜 사태를 수습했다. 1705년에는 토지법을 개정하여 술레이만 1세처럼 '입법자'라는 칭호를 얻었다.

당시 러시아 차르국은 표트르 1세 지휘 아래 1700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으로 아조프 주변을 탈취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발칸 반도에서는 오스트리아가 남하하고,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헝가리 왕국을 상실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대북방 전쟁에서 스웨덴과 러시아가 충돌하자, 오스만 제국은 양측으로부터 동맹 제의를 받았으나 중립을 지켰다.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패배한 카를 12세가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하자, 아흐메트 3세는 그를 몰다비아 벤데르로 맞이했다. 이후 카를 12세와 프랑스 대사의 설득으로 1710년 러시아에 선전포고를 했다. 1711년 프루트 강 전투에서 승리하고 프루트 조약을 체결하여 아조프를 되찾았지만, 표트르 1세를 놓치고 스웨덴과의 동맹도 해소되었다.

1714년부터 베네치아 공화국과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놓고 전쟁을 벌였고(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716년부터는 오스트리아도 참전했다(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펠로폰네소스 반도는 얻었지만, 세르비아 북부와 왈라키아 서부를 오스트리아에 내주었다.

이후 아흐메트 3세는 평화 정책으로 전환하고, 대재상 네브셰힐리 이브라힘 파샤의 보좌를 받아 서유럽 문화를 적극 수용했다. 군사 지출을 줄이고 재정을 안정시켰으며, 이스탄불을 중심으로 건축과 재개발을 추진했다. 1719년부터 , 파리, 모스크바 등지에 사절을 파견하여 유럽과 수교하고 정보를 수집하게 했다. 1722년 사다바드 궁전을 건설하고, 도서관 건설과 활판 인쇄를 보급하는 등 문화 사업을 추진했다. 서유럽에서 튤립을 대대적으로 수입하여 재배하면서 튤립 시대가 열렸다.

그러나 서유럽 문물 도입과 사치는 낭비로 여겨져 반감을 샀고, 1718년 이스탄불 화재, 1719년 지진, 사파비 왕조와의 장기전으로 재정이 악화되었다. 1723년 러시아와 결탁하여 이란 원정을 시작했지만,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시민들의 불만이 높아졌다. 결국 1730년 파트로나 할릴의 난으로 이브라힘 파샤는 처형되고 아흐메트 3세는 퇴위했다.

아흐메트 3세는 퇴위 후 톱카프 궁전에 유폐되어 6년 후인 1736년에 사망했다.

3. 1. 즉위 과정

에디르네 즉위는 1703년 8월 19일부터 8월 23일 사이에 일어났다. 무스타파 2세 치하에서 이스탄불은 오랫동안 통제 불능 상태였다. 체포와 처형이 늘어나면서 절도와 강도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국민들은 제국의 부실한 통치에 불만을 품었다.[9] 무스타파 2세는 예니체리에게 폐위되었고, 아흐메트 3세가 1703년 8월 22일 왕위를 계승했다. 첫 번째 금요 예배는 바예지드 모스크에서 열렸다.[9]

Fındıklılı Mehmed Ağa는 하렘 문에서 새로운 술탄을 환영하고, 그를 하소다 쪽으로 데려가 카디간-이 사에데트 부서로 데려가 왕좌에 앉혔으며, 그에게 경의를 표하는 첫 번째 사람이었다.

아흐메트 3세는 봉토 제도의 일환으로 1705년에 토지법을 개정했다. 토지 소유에 대한 질서를 가져오면서 범죄 물결이 줄어들었고 혼란스러운 제국에 평화가 찾아왔다. 새로운 법에 대한 그의 열렬한 지지 때문에 아흐메트 3세는 '법을 제정한 자'라는 칭호를 받았는데, 이는 이전의 세 술탄, 바예지드 2세, 셀림 1세, 쉴레이만 1세에게만 주어진 칭호였다. 그의 통치 초기 3년 동안 아흐메트 3세는 네 명의 서로 다른 대재상을 임명했다. 그러나 정부는 1706년 5월 초르를루 알리 파샤가 임명된 후에야 약간의 안정을 되찾았다.

아흐메트 3세가 술탄으로 선포되고 오스만의 검을 차고 있다.

3. 2. 대외 관계 및 전쟁

아흐메트 3세 시대의 대외 관계는 전쟁과 평화가 교차하는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1700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으로 아조프 주변을 러시아에 빼앗기면서, 오스만 제국은 쇠퇴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었다. 동시에 발칸 반도에서도 오스트리아의 남하와 1699년카를로비츠 조약으로 헝가리 왕국도 잃는 상황이었다.

대북방 전쟁에서 스웨덴 왕 카를 12세와 러시아의 차르 표트르 1세가 발트해의 패권을 걸고 충돌할 때, 오스만 제국은 1708년부터 스웨덴과 러시아 양측으로부터 동맹 요청을 받았으나, 아흐메트 3세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패배한 카를 12세가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하자, 아흐메트 3세는 그를 몰다비아벤데르로 맞이했다.

무굴 제국의 황제 자한다르 샤파루크시야르는 아흐메트 3세와 대재상 네브셰히를리 다마드 이브라힘 파샤에게 서신을 보내 우호적인 관계를 맺으려 했다.[10][11]

아흐메트 3세가 톱카프 궁전에서 프랑스 대사 Vicomte d'Andrezel을 접견하고 있다.


프랑스 대사 마르키 드 보낙이 아흐메트 3세에게 접견받고 있다.

3. 2. 1. 러시아와의 관계

아흐메트 3세는 러시아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표트르 1세에게 패배한 스웨덴의 칼 12세에게 오스만 제국 영토 내 망명을 허용했다.[6] 1710년 칼 12세는 아흐메트 3세를 설득하여 러시아에 전쟁을 선포하도록 하였고, 발타지 메흐메트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군은 프루트강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그 결과 러시아는 아조프를 오스만 제국에 반환하고, 타간로크 요새와 그 인근 지역의 요새들을 철거해야 했으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정에 간섭하지 않기로 합의했다.[6]

1700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으로 아조프 주변을 러시아에 빼앗기면서, 오스만 제국은 쇠퇴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었다. 대북방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은 1708년부터 스웨덴과 러시아 양측으로부터 동맹 요청을 받았으나, 아흐메트 3세는 중립을 유지했다. 하지만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패배한 칼 12세가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하자, 아흐메트 3세는 그를 받아들였다. 이후 칼 12세와 프랑스 대사의 설득으로 러시아와의 전쟁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1710년 아흐메트 3세는 결국 러시아에 선전 포고를 했다.

1711년 프루트 강에서 러시아군을 상대로 승리(프루트 강 전투)한 오스만 제국은 프루트 조약을 통해 아조프를 되찾고 러시아를 흑해에서 몰아냈다. 그러나 전투 중 표트르 1세를 사로잡을 기회를 놓치고 강화 조약을 맺으면서, 러시아와의 갈등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1713년 스웨덴과의 동맹이 해소되고 1714년 칼 12세는 스웨덴으로 귀국했지만, 대북방 전쟁은 결국 스웨덴의 패배로 끝났다.

3. 2. 2. 베네치아 및 오스트리아와의 관계

1714년 12월 9일, 오스만 제국은 베네치아 공화국에 전쟁을 선포했다. 실라다르 다마트 알리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는 육군과 해군의 협동 작전을 통해 베네치아로부터 모레아(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되찾는 데 성공했다.[21]

이러한 오스만 제국의 성공은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불안하게 만들었고, 1716년 4월 황제 카를 6세는 오스만 제국에 전쟁을 선포했다. 그러나 실라다르 알리 파샤가 지휘한 이 전투는 실패로 끝났고, 1718년 7월 21일에 체결된 파사로비츠 조약에 따라 베오그라드, 바나트, 왈라키아가 오스트리아에 넘어갔다. 이 실패는 아흐메트 3세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었으며, 조약으로 인해 이스탄불 경제는 인플레이션 증가로 어려움을 겪었다.[20]

네브셰히르리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는 1715년 모레아 원정에 합류했고, 이듬해 니시 시의 재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이 직책을 통해 그는 국가 재정의 쇠퇴를 깨달았고, 재상으로 재임하는 동안 가능한 한 전쟁을 피하려 했다. 이브라힘 파샤의 평화 정책은 아흐메트 3세에게도 잘 맞았는데, 그는 군사 작전을 이끌고 싶어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예술과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스탄불을 떠나기를 꺼렸기 때문이다.[20]

1714년부터 오스만 제국은 베네치아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놓고 전쟁을 벌였고(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716년부터 오스트리아가 베네치아 측에 가담하면서 발칸 반도에서도 전선이 열렸다(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21] 1716년, 오스트리아의 요새 페트로바라딘(페테르바르다인)을 탈환하려 원정을 떠난 대재상 실라다르 다마트 알리 파샤는 오스트리아군 총사령관 프린츠 오이겐에게 패배하여 전사했고([페테르바르다인 전투), 후임 하지 할릴 파샤는 이듬해인 1717년에 오스트리아군에 포위된 세르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를 구원하려 했으나, 오이겐에게 패배하고 베오그라드마저 빼앗겼다(베오그라드 포위전).[21]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베네치아로부터 얻었지만, 세르비아 북부와 왈라키아 서부를 오스트리아에 내주면서 발칸 반도의 영토를 다시 잃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은 평화 정책으로 전환하여 유럽 문화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21]

3. 2. 3. 사파비 왕조와의 관계

사파비 왕조오스트리아 대공국의 대사들은 1706년부터 1707년까지 오스만 제국을 방문하여 환영받았다.[10]

3. 3. 내정 및 튤립 시대

1720년 리셉션에 참석한 술탄 아흐메트 3세


아흐메트 3세는 군인과 백성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오크메이다니에서 사격 대회를 열었고, 테르사네-이 아미레에서는 새로운 군함이 진수되었다.

짧은 기간 동안 세 명의 대재상이 임명되었다. 1704년 9월 24일 하산 파샤 대신 칼라일코즈 아흐메트 파샤가, 1704년 12월 25일에는 발타지 메흐메트 파샤가 임명되었다. 1707년에는 에이율뤼 알리 아가가 술탄을 폐위시키려는 음모를 꾸몄다가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아흐메트 3세는 과도한 세금이나 강탈 없이 오스만 제국의 재정을 번성시켰다.

다뉴브 공국의 정부에도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이전에는 포르테가 해당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토착 몰다비아왈라키아 보야르인 호스포다르를 임명했다. 1711년 러시아 캠페인 이후, 표트르 대제가 몰다비아의 공작 드미트리에 칸테미르를 동맹으로 삼자, 포르테는 파나리오테스 그리스인을 공개적으로 파견하기 시작했다. 공작 슈테판 칸타쿠지노가 사보이의 외젠 공과 연결되면서 이 시스템은 왈라키아로 확장되었다. 파나리오테스는 일종의 ''딤미'' 귀족을 구성했으며, 포르테에 국가의 많은 중요한 부서에서 일하는 관리를 제공했다.

3. 3. 1. 튤립 시대의 개막

오스트리아와의 패배 후 강화 조약을 맺은 후 서유럽 국가들과의 수교를 통해 대재상 네브셰힐리 이브라힘 파샤의 보좌를 받아 서유럽 국가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군사 지출이 억제되고 재정이 호전되어 이스탄불을 중심으로 건축 및 재개발이 진행되었다.

1719년에 이브라힘 파샤는 오스트리아의 에 사절을 파견한 것을 시작으로 1720년1721년에는 프랑스의 파리, 1722년1723년에는 러시아의 모스크바에 사절을 파견하여 유럽과 수교를 맺고, 동시에 사절에게 유럽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게 했다. 지시를 받은 프랑스 사절 일미세키즈 체레비는 프랑스 건물에 대해 자세히 기록했고, 이브라힘 파샤는 이를 참고하여 이스탄불에 서유럽 문화를 도입하여 잇따라 새로운 시설을 건설했다. 1722년에는 아흐메트 3세의 별궁으로 사다바드 궁전이 건설되었고, 이스탄불의 수로 정비와 함께 급수용과 장식용을 겸한 샘 건물(샘 정자)을 건설하여 연일 연회가 열리며 화려한 궁정 문화가 싹텄다.

서적 보존을 위해 도서관 건설과 활판 인쇄도 보급되었으며, 이브라힘 파샤의 후원으로 이브라힘 뮈테페리키가 인쇄소를 개설하여 페르시아어에서 터키어로 번역된 책의 인쇄 및 보존이 이루어졌다. 아흐메트 3세도 문화 사업을 추진하여 톱카프 궁전 내에 도서관을 짓거나 서유럽 국가에서 튤립을 대대적으로 수입 및 재배하여 튤립이 만개했기 때문에 튤립 시대라고 칭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아흐메트 3세의 행동은 낭비로 여겨졌고, 정부에 대한 반감도 생겨났다[22]

3. 3. 2. 문화 발전

오스만 제국의 재정을 번성시킨 아흐메트 3세는 문학과 예술의 후원자였다. 그의 시대에 아랍어 또는 터키어를 사용할 수 있는 최초의 인쇄기가 허가되어 이스탄불에 설치되었고, 이브라힘 뮈테페리까가 운영했다.[22]

아흐메트 3세는 물시계, 분수, 공원 폭포, 그리고 세 개의 도서관 건설을 의뢰했으며, 그중 하나는 톱카프 궁전 내부에 있었다. 위스퀴다르 예니 모스크의 판과 톱카프 궁전 아파트 문에 새겨진 “바스말라”도 그가 쓴 것이다. 1724년에서 1725년 사이에는 투르한 술탄 묘지 입구 옆에 도서관을 건설했는데, 이 건물은 돌과 벽돌이 번갈아 가며 엮인 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방형이고 평평한 돔으로 덮여 있다.[12][13]

오스트리아와의 강화 조약 이후, 네브셰힐리 이브라힘 파샤의 보좌를 받아 서유럽 국가들과 수교하고 그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1719년 오스트리아 에 사절을 파견한 것을 시작으로, 1720년1721년에는 프랑스 파리, 1722년1723년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에 사절을 파견하여 유럽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게 했다. 프랑스 사절 일미세키즈 체레비는 프랑스 건물에 대해 자세히 기록했고, 이브라힘 파샤는 이를 참고하여 이스탄불에 서유럽 문화를 도입했다. 1722년에는 아흐메트 3세의 별궁으로 사다바드 궁전이 건설되었고, 이스탄불의 수로 정비와 함께 급수용과 장식용을 겸한 샘 건물(샘 정자)을 건설하여 화려한 궁정 문화가 싹텄다.

도서관 건설과 활판 인쇄도 보급되었으며, 이브라힘 파샤의 후원으로 이브라힘 뮈테페리키가 인쇄소를 개설했다. 아흐메트 3세는 톱카프 궁전 내에 도서관을 짓고 서유럽 국가에서 튤립을 대대적으로 수입 및 재배하여 튤립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이러한 아흐메트 3세의 행동은 낭비로 여겨졌고, 정부에 대한 반감도 생겨났다.[22]

3. 4. 퇴위와 죽음

술탄 아흐메트 3세는 자신과 주요 관료들이 지나치게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고 값비싼 사치를 즐기면서 인기를 잃었다. 1730년 9월 20일, 알바니아인 파트로나 할릴이 이끄는 17명의 예니체리는 시민과 군대의 도움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술탄은 왕위를 포기하게 되었다.[17]

아흐메트는 조카 마흐무트 1세를 자진해서 왕위에 앉히고 제국의 술탄으로서 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그 후 마흐무트가 이전에 거처했던 카페스로 물러났으며, 6년간의 감금 생활 끝에 톱카프 궁전에서 사망했다.[17] 1736년, 62세로 사망했다.[20]

아흐메트는 폐위된 후 6년 동안 톱카피 궁전의 카페스에서 살았으며, 그곳에서 병을 얻어 1736년 7월 1일에 사망했다. 그는 이스탄불 에미뇌뉘의 예니 발리데 모스크에 있는 투르한 술탄 영묘에 있는 할머니의 묘에 묻혔다.[18]

4. 가족 관계

아흐메트 3세는 오스만 왕조에서 가장 많은 가족(그리고 하렘)을 거느린 술탄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하렘의 안주인은 딜하야트 칼파였으며, 근대 초 터키 최고의 여성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1]

아흐메트 3세에게는 많은 아들이 있었지만, 성인이 된 사람은 6명뿐이었다.[1]

이름출생 - 사망
술레이만1710년 - 1732년
셰흐자데 메흐메트1717년 - 1756년
무스타파1717년 - 1774년
바야지트1718년 - 1771년
누만1723년 - 1764년
압뒬하미트1725년 - 1789년


참조

[1] 서적 The lost Messiah Viking
[2]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University Press
[3] 서적 Tra greci e turchi: fonti diplomatiche italiane sul Settecento ottomano Consiglio nazionale delle ricerche
[4] 서적 The Middle East Library Information and Research Service
[5] 서적 The Bosphorus Redhouse Press
[6] 간행물 Ahmed III.
[7] 서적 The Bosphorus Redhouse Press
[8] 서적 The Chief Eunuch of the Ottoman Harem: From African Slave to Power-Brok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8-30
[9] 서적 Bu mülkün sultanları 2015
[10] 서적 Mughal-Ottoman relations: a study of political &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ughal India and the Ottoman Empire, 1556-1748 https://books.google[...] Idarah-i Adabiyat-i Delli 1989
[11] 서적 Mughal-Ottoman relations: a study of political & diplomatic relations ... - Naimur Rahman Farooqi https://books.google[...] 1989
[12] 웹사이트 YENİCAMİ KÜLLİYESİ İstanbul'da XVI. yüzyılın sonlarında inşasına başlanan ve XVII. yüzyılın ikinci yarısında tamamlanan külliye. https://islamansiklo[...]
[13] 웹사이트 YENİCAMİ KÜTÜPHANESİ https://islamansiklo[...]
[14] 서적 Edirne türbeleri ve evlad-ı Fatihan mezarları O. Onur
[15] 서적 ÇELEBİZÂDE ÂSIM TARİHİ: Transkripsiyonlu metin
[16] 서적 Bu mülkün kadın sultanları: vâlide sultanlar , hâtunlar, hasekiler, kadınefendiler, sultanefendiler https://www.worldcat[...] Oğlak Yayıncılık 2008
[17] 문서 According to other historians, this would instead be the date of death of Nazife Sultan, a daughter of Ahmed III, survival is controversial due to the fact that it turns out she never married.
[18] 문서 According to Alderson, she was instead the daughter of Ayşe Behri Mihri Kadın, but this has been discredited .
[19] 웹사이트 Full text of "Candide, and other romances. Translated by Richard Aldington, with an introd. and notes. Illustrated by Norman Tealby" https://archive.org/[...] 2008
[20] 문서 阿部、P99 - P102、パーマー、P50 - P52、永田、P270 - P271、林、P277 - P279。
[21] 문서 阿部、P105 - P116、パーマー、P52 - P56、永田、P271 - P272、マッケイ、P207 - P221。
[22] 문서 パーマー、P57 - P66、永田、P272 - P275、林、P279 - P289。
[23] 문서 パーマー、P66 - P73、永田、P221 - P223、P275 - P277。
[24] 서적 The lost Messiah Viking
[25]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Ottoman Empire Barnes & Noble
[26]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University Press
[27] 서적 Tra greci e turchi: fonti diplomatiche italiane sul Settecento ottomano Consiglio nazionale delle ricerche
[28] 서적 The Middle East Library Information and Research Service
[29] 서적 The Bosphorus Redhous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